본문 바로가기
linux

Linux - Samba

by hj_it 2024. 3. 25.
Samba

- 네트워크를 통해 파티션을 공유하도록 제공하는 서비스

- 유닉스 시스템과 windows 시스템간 파일 시스템 공유 

- 유닉스 계열의 거의 모든 시스템에서 제공

- 시스템의 리소스를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이므로 보안에 주의한다.

   • 응용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리소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실습

- st01, st02, test 계정이 공동으로 사용할 st 를 구현한다.

   • st01, st02는 자원에 대한 모든 권한이 있지만 test는 read only로 지정한다

1)설치 및 확인

yum install -y samba로 설치한다.

설치 확인

 

2) 그룹 및 사용자 생성, samba 사용자 생성

groupadd 명령어로 st 그룹 생성

useradd 명령어로  group은 st로 지정하고 st01, st02, test 계정 생성

smbpasswd 명령어에 옵션 a를 이용해 st01, st02, test 유저를 등록한다.

 

3)  test용 디렉토리 st 생성 및 권한 변경

/home/st 디렉토리 생성

# chown st01.st st

# chmod 770 st

4) sbm.conf파일 수정

vi /etc/samba/smb/conf 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

 

systemctl restart smb.service로 samba서버를 재시작 해 준다.

 

5) 윈도우에서 테스트

st01 계정으로 로그인

txt 파일을 생성하여 읽기와 쓰기가 가능하다.

st02로 로그인 후 읽기와 쓰기가 잘 되는 것을 확인.

test 계정으로 로그인 후, 쓰기가 안되고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NFS  (0) 2024.03.25
Linux - 가상 호스트(도메인 기반)  (0) 2024.03.25
Linux - Apache 가상 호스트(Virtual host)  (0) 2024.03.25
Linux - Apache Webmaster 생성  (0) 2024.03.25
Linux - RPM과 YUM  (0) 2024.03.25